
지반 개량 공법 웰포인트 공법(사질 지반): 집수 장치를 붙인 파이프를 지중에 주입 펌프로 배수 생석회말뚝공법(점토지반): 부드러운 점토층에 생석회말뚝을 받아 생석회가 흡수팽창하는 공법 샌드레인 공법(점토 지반): 모래 말뚝 형성 후 하중에서 압밀 탈수하는 공법 종이 드레인 공법 (점토 지반) : 합성 수지 카드 보드를 사용하여 탈수하는 공법 흙 파기 공법 접지 앵커 공법 아일랜드 컷 공법 : 중앙부 드릴링 → 중앙부 기초 구조물 축조 → 주변부 토굴 트렌치 컷 공법: 주변부 토굴 → 중앙부 기초 구조물 축조 → 중앙부 굴착 토양의 붕괴 현상 히빙 현상: 점토지반에서 토양이 외토가 안으로 들어가 브룩이 되는 현상 보일링 현상: 모래질 지반에서 흙이 안감 하수가 들어가 모래처럼 솟아오르는 현상 파이핑 현상 : 토양 벽의 구멍, 이음새를 통해 밀링의 고사장 내부 바닥에 침투하는 현상 언더피닝 공법 기존 건물 근처에 신축 공사를 할 때 기준 건물의 지반과 기초를 보강하는 공법 철근 이음새 위치 응력이 큰 곳은 피해 번갈아 연결되고 주근깨는 이음새는 인장역이 가장 작은 곳에서 실시한다. 한 곳에서 철근수의 절반 이상을 계속해서는 안되며, D35를 넘는 철근은 겹친 이음새가 없다. 거푸집 공사의 측압이 커지는 영향 요인 슬럼프(희석)가 클수록 부배합일수록 타설 속도가 빠를수록 맹세가 과도해질수록 철골, 철근량이 적을수록 거푸집의 강성이 클수록 대기 중 습도가 높을수록 온도가 낮을수록 거푸집 공사 부속품 및 기구 Form Tie(긴결재): 거푸집 간격을 유지하는 긴장재로서 후추가 밖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 Separator(분리재): 거푸집 공사의 간격을 유지 Spacer(긴급재): 철근 피복 두께를 유지하기 위한 간극재(굿재)로서 철근의 거푸집 밀착 방지 거품 기름: 잘 떨어지기 위하여 시멘트의 조기 강도가 빠른 순서 알루미나 > 조강 포틀랜드 > 일반 포틀랜드 > 고로 > 실리카 > 중용 열 포틀랜드 시멘트 莊綺目 (콘크리트 조, 조인트 정)
cold Joint : 경화된 콘크리트에 새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발생하는 눈 Construction Jonit(시공선 눈): 시공상 콘크리트를 한 번에 타설할 수 없는 곳에 생기는 시선 Delay Joint (지연) : 장 Span 구조물에 건조 수축을 줄이기 위해 설치 Expansion Joint(신축축소): 기초부동침하와 온·습도 변화에 의한 신축팽창 흡수를 위해 설치 Control Joint(조절 눈): 바닥판의 수축에 의한 표면 균열 방지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눈 콘크리트 재료 분리 현상 블리딩(Bleeding): 굳지 않은 시멘트 풀, 모르타르, 콘크리트에서 물이 상면에 침투하는 현상 대기 시간 : 콘크리트를 부은 후 물의 증발로 표면에 발생하는 흰색 물질 크리프(Creep, 장기 변형)를 증가시키는 원인 재하 응력이 클수록 단위 시멘트량이 많을수록 양생(보양, Curing)이 나빠질수록 부재의 단면이 작을수록 부재의 스팬 길이에 비해 높이가 낮을수록 온도가 높고 습도가 낮을수록 물 시멘트비가 큰 콘크리트를 사용할수록, 재령이 적은 콘크리트에는 하시기가 빠를수록 철골공사의 접합으로 초록색을 칠하지 않는 부분 콘크리트에 매립, 조립에 의한 접촉면, 현장 용접하는 개소 초음파 탐사 검사에 영향을 주는 범위, 고강도 볼트 접합부의 마찰면 용접 접합 맞대는 용점: 2개의 부재를 맞대어 홈을 만들고, 용착 금속으로 채우고 용접 모육 용접: 목 방향이 모재 표면과 45° 또는 거의 45°로 용접 용접 결함 오버랩(Over Lap): 용접 금속과 모재가 융합되지 않고 단순히 겹치는 것 언더컷: 과대전류로 용접 상부에 모재가 녹아 홈에 남은 부분 구덩이: 용접 표면에 생기는 미세한 상처 블로우홀 : 용융금속이 응고되었을 때 방출가스가 남아 발생한 기포나 작은 간극 피쉬 아이 : 슬래그의 혼입과 브로홀의 겹침 현상, 물고기의 눈알 모양의 은빛 반점이 나타난다 (은의 점)
균열: 용접 후 냉각 시 발생하는 균열 크레이터 : 용접 길이의 팁에 촉촉한 부분 시선 시공 눈금 치수 : 표준 10mm, 내화 벽돌 6mm 타일과 모자이크 벽돌은 2mm 막힌 눈이 원칙, 보강 블록조와 옷차림용은 일근눈 시공 조적 공사 시공시의 유의 사항 하루의 쌓아 높이는 통상 m(18온) 정도로 하고, 최대 m(22온) 이하로 한다. 벽돌 표면 온도는 4℃ 이하가 되지 않도록 관리 내력벽의 적층에서는, 주로 스프링 스프링 적재가 사용되고, 모르타르 강도는 벽돌 강도 정도로 사용한다. 연속적인 벽면의 일부를 나중에 쌓을 때, 그 부분을 계단의 들여 쓰기로한다. 벽돌 만드는 법 영식 적재: 돌고래와 길이 적재를 번갈아 가며, 각벽 첨단은 이오토막 사용(가장 튼튼하다) 꽃란식(네덜란드식) 스택: 영식 스택과 거의 같은 칠면조를 사용 불식(프랑스식) 스택: 매번 길이와 참치 적재가 번갈아 나오도록 적층하는 방법 미식가 쌓기: 5개의 길이를 쌓고 다음 1개를 쌓는 방법 블록 스택 두께 : 두꺼운 쪽이 위로 가도록 쌓는다. 시선 시공: 일반 블록 세트는 막힌 눈, 보강 블록 존 국경 조수조 위에 서리를 내는 볼로댄스(높이)는 벽두께의 배로 하고, 철근은 40d 이상 정착시킨다 역학: 균등 하중 분포, 벽체 수직 균열 방지, 보강 블록 세트 세로 철근 정착, 집중 하중을 받는 부분 보강 내부 방수 및 외부 방수 안방수:수압이 적고 얕은 지하실에 시공해, 보호 누름이 필요하지만 공사비가 싸다. 외방수:수압이 크고 깊은 지하실에 시공해, 보호 누름이 없어도, 본 공사에 선행한다. 도막 방수의 종류 용제형 도막 방수: 완성된 도막은 외부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시공 후 보호층 시공이 필요 유제형 도막 방수(수지 에멀젼형 도막 방수): 재질이 부드럽고 넓은 장소의 시공이 어렵다. 에폭시 도막 방수: 내약품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내후성이 뛰어나, 화학 공장이나 바닥 공사 사용 미용공사의 수경성과 기경서 재료 기경성(공기 중 경화): 석회질, 진흙질로서, 석고 주조, 회사 벽, 백운석 석고
수경성 (물과 함께 경화, 혼합 (소석회, 백운석 석고) 사용) : 석고, 혼합 석고, 경석고 석고 페인트 요령 도막은 얇게 수회 도포하고, 충분히 건조시킨다. 바르는 횟수를 구분하여 색을 다르게 바른다. 커튼웰의 외관 형태별 분류 스팬 드릴 방식(Spanderl Type): 스팬 드릴(Spandrel)로서 수평성을 강조하는 방식 셔틀 기둥 방식(Mullion Type): 멀리언(Mullion)으로 수직을 강조하는 창 그리드 방식 : 수직과 수평을 동시에 강조하기 위해 격자 모양으로 외관을 구성 시멘트 창고 면적 여기서 N: 시멘트 포대수, n: 적층 단수(최대 13단) 600포 미만: N = 전량 600포 이상~1,800포 이하:N=600포 1,800포 초과: N=만 적용 변전소 면적 변전소 면적 = 여기서 W:사용기구 전력의 합계(kW) 조적공사 적산 – 벽돌 벽돌 기준량(소요량) 산정시 할증율 붉은 벽돌의 경우: 3% 이내 시멘트 벽돌의 경우: 5% 이내 벽돌 정미량=벽 면적(벽 길이×벽 높이=개구부 면적)×단위 수량 벽돌(190×90×57mm) 단위 수량 B:75장/ B:149장/ B:224장/ 건축 구조 지지 말뚝: 부드러운 지반을 관통하여 견고한 지반에 도달하며 첨단 지지력에 의해 하중을 지반에 전달 마찰 말뚝: 연약, 사질토 지반에 적용, 국은 지반이 깊은 경우, 말뚝과 지반의 마찰력에 의해 하중을 지지 말뚝 종류별 간격 나무 말뚝: D 이상 or 600mm 이상 기성 콘크리트 말뚝: D 이상 or 750mm 이상 강재 말뚝: D 또는 폭의 배 이상 or 750mm 이상 구매 말뚝: 2D 이상 현장 타설(소정 위치) 콘크리트 말뚝: 2D 이상 or D+1000mm 이상 활하중의 영향 면적 기둥과 기초: 부하 면적의 4배 보: 2배 슬래브: 부하 면적 적용 부하 면적 중 캔틸레버 부분은 영향 면적에 단순 가산
활하중 저감 계수 지진 하중 지진Ⅰ존: 지진Ⅱ구역: 하중 조합 U = (D+F) U = (D+F+T) + L + (Lr or S or R) U = D + (Lr or S or R) + (L or W) U = D + W + L + (Lr or S or R) U = D + E + L + S U = D + W U = D + E 여기서, D=고정 하중, L=활하중, W=풍하중, Lr=지붕 활하중, E=지진 하중, S=적설 하중, T=온도 하중, F=유체 중량 및 압력에 의한 하중, R=강우 하중 순간 M = Pl 구조물 판별식 N = m + r + k – 2j 여기서, m: 부재 수, r: 반력수, k:강절점수, j:절점수 단순보의 반력 계산 (p.159) ①집중하중 작용시 ② 등분포 하중 작용 시 ③ 등변분포하중 작용시 ④모멘트 하중 작용시 부정 구조의 굽힘 모멘트 ① 일단 고정, 타단 지지, 집중 하중 ㉠a=b=의 경우 ② 일단 고정, 타단 지지, 등분포 하중 단면 1차 모멘트 사각형의 단면 삼각형의 단면 원형 단면 사다리꼴 단면 합성 단면 단면 2차 모멘트 균열 모멘트 단면 2차 반경(회전 반경) 응력도 흄 응력도 포아송 비와 포아송 수 응력 변형률 리드 후크의 법칙 ㉠ 재료의 탄성 한계 내에서 응력은 변형률에 비례합니다. ㉡ 탄성계수, 변형량 기둥 세탁기 : 기둥의 얇고 긴 정도의 비 압축 응력 σ: 압축 응력, P: 중심 축 하중, A: 단면적(bh) 일축편심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조슈 해석 오일러 공식 간단한 휨, 휨각(p.174) 콘크리트 구조 기준에 따른 탄성 계수 탄성 계수 경량 콘크리트 계수 ㉠ 정상 중량 콘크리트: λ = ㉡ 굽힘 인장 강도(파괴 계수): 크리프 변형: 탄성 변형 후 지속 하중에 의해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소성 장기 변형
균형 철근 비율: 극한 변형률 등가 블록에서의 등가 응력 깊이비(계수) 콘크리트 강도가 28MPa 이하인 경우: = 콘크리트 강도가 28MPa를 초과하는 경우 = – 7 최대 , 최소 콘크리트 압축 표지의 극한 변형률은 3입니다. 연철근 직사각형 보의 해석과 설계 (p.181) 등가 블록 깊이 공칭 굽힘 강도 철근비 제한 (p.182) ㉠밸런스 철근비 ㉡최대 철근비 ㉢ 최대 철근량 철근 콘크리트 (RC) 보의 굽힘 응력과 전단 응력 분포 ㉠호모지나이저 ㉡RC보 ㉢ 최대 응력 설계 전단 강도 전단 철근 설계 철근의 순간 격 ① 동일 평면에서 평행한 철근 사이의 수평 순간격(3개의 조건 중 최대값을 사용) ㉠25mm 이상 ㉡철근의 공칭 직경 이상 ㉢굵은 골재 최대치수 이상 ② 빔의 최소폭(다음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 천 두께+스타롭 ㉡철근경 ㉢순간격 기본 정착 길이 인장 이형 철근 정착 길이 압축 이형 철근 정착 길이 표준 손톱이있는 인장 철근의 정착 길이 주철근의 표준 손톱
타루미 최종 편향 = 탄성 처짐 + 장기 처짐 = 탄성 편향 + λ× 탄성 편향 편향 제한
최대 허용 편향
슬래브의 종류 ・플랫 슬라브 보지 않고 기둥에서만 지원되는 슬래브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 늑골이나 지판없이 기둥에 하중을 전달하는 슬래브 최소 철근비 대철근 간격(최저치로 설계) ①주철근경의 16배 이하 ② 대철근경의 48배 이하 ③기둥 단면의 최소폭 이하 기둥 축하의 힘 장비: 기둥의 유효 길이와 최소 단면 2차 반경의 비율 가구비: 좌굴 하중
강철 보의 처짐 제한
건축 설비 펌프의 축 동력 여기서 1kW = 102kg·m/sec = 6120kg·m/min W: 비중(kg/) 물의 비중 = 1,000kg/ Q : 양수량(/min) H: 전양정 E: 효율 여유율: 펌프 구경 급탕 부하 부패조의 용량(, n은 상화 대상 인원) 5명 미만, V = 이상 5500명 미만, V=+(n5) X 500명 이상, V = 51+(n500) X 5 열 관류율 여기서는 수관 보일러, 연통 관련 노일러 특성
필요한 라디에이터 ㉠증기난방의 경우 ㉡ 온수 난방의 경우 평균 복사 온도(MRT) 압축식 냉동기 순환 원리: 압축 > 응축 > 팽창 > 증발(냉동, 냉각) 흡수식 냉동기 순환 원리: 흡수 > 재생 > 응축 > 증발 냉각탑은 응축기용 냉각수를 재활용하기 위해 대기와 접촉하여 냉각하는 장치 상대 습도 100%에서는 건구 습구 이슬점 온도가 동일 습기의 가열 또는 냉각에 의한 상태 변화
출구의 유효폭 합계는 100마다 m 가산한 폭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문은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로부터 최소 2m 이상의 거리를 유지 회전문과 문틀 5cm 이상 회전문과 바닥 사이는 3cm 이하 옥상 광장 또는 2층 이상의 층에 있는 전통 및 기타와 유사한 것의 주위에는 높이 m 이상의 난간을 설치 피난 공간 설치 층수가 11층 이상으로 0 이상의 건축물의 옥상 지붕의 수평 투영 면적의 0 이상 출입구의 유효폭 m 이상으로 해, 출입구는 코무네 방문을 설치 통로 폭 m 이상: 단독주택 3m 이상: 바닥 면접 총 500개 이상의 문화 및 집회 시설, 종교 시설, 의료 시설, 엔터테인먼트 시설 또는 장례 시설 방화 구획 설치 대상 연면적이 1,000을 넘는 건축물 11층 이상의 층 실내 마감재가 불연재인 경우: 500 실내 마감재가 불연재가 아닌 경우: 공동주택 등의 출입구와 오락시설 등의 출입구는 서로의 보행거리가 30m 이상이 되도록 설치 계단 설치 기준 연면적 200개가 넘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계단과 복도는 다음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계단 매력: 3 3 난간: 1 중간 폭: 3 3 15 30 유효 높이: m 복도의 폭 기준
배기구는 도로면으로부터 적어도 2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한다. 차수 설비 방재지구, 자연재해위험지구의 연면적 10,000개 이상의 건축물 20m 이상이면 피뢰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주차장 사용률 70% 이상이 아니면 주차 전용 건축물 평행 주차 형식의 경우 금형 ×m 이상 일반형 ×m 이상 보도와 차도 구별이 없는 주택지역 도로 ×m 이상 이륜차 전용 ×m 이상 평행 주차 형식 이외의 경우 금형 ×m 이상 일반형 ×m 이상 확장형 ×m 이상 장애인 전용 ×m 이상 이륜차 전용 ×m 이상 거리 주차장 폭 6m 미만에는 설치× 종단 경사도가 4%를 초과하는 곳에 설치× 주차 대수 규모가 20대인 경우 장애인 전용 주차구회를 적어도 1면 이상 설치 야외 주차장 건폐율 90% 이하 용적률 1,500% 이하 최소 대지면전: 45 높이 제한 대지폭 12m 미만: 수평거리의 3배 이하 대지폭 12m 이상: 배 이하 야외 주차장 의무 설치 주차 대수 50대 이상, 주차 대수의 2%4%까지의 범위에서 장애인 전용 주차 구획 설치 옥외 주차장 출입구의 설치 금지 장소 횡단보도에서 5m 이내 폭 4m 미만의 도로(예외 200대 이상의 경우는 6m 미만) 종단 구배 10% 교육 관련, 복지 시설, 아동 전용 시설 등의 출입구에서 20m 이내의 도로 부분 옥외 주차장 출입구 폭은 m 이상 50대 이상인 경우 m 이상 출입구 수에 따른 차량 폭
지하식 또는 건축물식 야외 주차장 차량 기준 자동차 높이: m 이상 곡선 부분 내변 반경 원칙: 6m 이상 50대 이하의 경우: 5m 이상
옥외 주차장의 주차 부분 기준 주차부 높이: 바닥면에서 m 이상 주차장 차량 빈번한 시간 전후 8시간 평균치 50ppm 이하 부대시설은 총면적이 주차장의 총시설면적의 20% 이하이어야 한다. 부설 주차장 설치 기준 타락시설 : 100당 1대 문화집회:150당 1대 숙박 시설: 200개당 1대 골프장 : 홀당 10대 부설 주차장 부근 설치 300대 이하 규모 부지 부근 범위: 직선 거리 300m 이내 또는 도보 거리 600m 이내 설치의무가 면제되는 부설주차장 규모는 300대 자주식 부설 주차장별 기준 8대 이하의 자주식 주차장 자동차 폭은 m 이상
기계식 주차장에 설치해야 하는 정류장 확보 기준 주차 대수 20대를 넘는 20대마다 1대분 (주식 대수 – 20)/20 지구 단위 계획 도시·군 계획 책정 대상 지역 도시·군 관리 계획 도서 중 계획도는 축척 000 또는 000 용도지역 : 공공복리 촉진 용도지구: 제한 강화 또는 완화에 의한 적용 용도 구역 : 제한 강화 또는 완화하여 별도로 적용함으로써 무질서한 확산 방지 용도지역의 세분 주거 지역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룡스파텔 사우나 - 대전 유성온천역 사우나 대전봉명동 계룡스파텔 사우나 간편 리뷰 (0) | 2025.05.17 |
---|---|
밀양 얼음골사과축제 - 밀양 빙골 사과 축제 다양한 사과를 맛보고 입안에 맞는 사과 찾기 (1) | 2025.05.17 |
호주 골드코스트 - 호주 골드 코스트 바시티 레이크스 워킹 (ft. 바시티 컬리지 학부모와의 만남) (2) | 2025.05.16 |
제주도 코끼리 - 제주 투어 패스 제주도 점보 빌리지 제주도 코끼리 공연의 먹이 (1) | 2025.05.16 |
공룡능선 코스 - 설악산 코파크 비선 대공룡 노선 대청봉 오색 등산 코스 (0) | 2025.05.16 |